반응형

건축 설계에 있어 주차장은 중요한 부분입니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차량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주차장 규격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주차장 규격은 건축물의 크기, 사용 목적, 현지 규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법정 주차장 규격은 주차 공간의 크기, 주차 구역의 배치, 차도와 차간 간격 등을 포함합니다. 또한, 주차 차로의 폭은 차량 이동과 주차 편의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건축 설계를 위해서는 주차장 규격 및 주차 차로의 폭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주차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건물 사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평행주차(주차단위구획은 흰색 실선으로 표시)
구분 | 너비 | 길이 |
경형 | 1.7m 이상 | 4.5m 이상 |
일반 | 2.0m 이상 | 6.0m 이상 |
보도와 차도구분이 없는 주거지역 도로 | 2.0m 이상 | 5.0m 이상 |
이륜자동차전용 | 1.0m 이상 | 2.3m 이상 |
평행주차 외의 경우(직각주차)(주차단위구획은 흰색 실선으로 표시)
구분 | 너비 | 길이 |
경형 | 2.0m 이상 | 3.6m 이상 |
일반형 | 2.5m 이상 | 5.0m 이상 |
확장형 | 2.6m 이상 | 5.2m 이상 |
장애인전용 | 3.3m 이상 | 5.0m 이상 |
이륜자동차전용 | 1.0m 이상 | 2.3 이상 |
차로의 너비
(출구의 너비는 3.5m 이상으로 하여야 하며,
주차대수 규모가 50대 이상인 경우에는 출구와 입구를 분리하거나 너비 5.5m 이상의 출입구 설치)
주차형식 | 차로의 너비 | |
출입구가 2개 이상인 경우 | 출입구가 1개인 경우 | |
평행주차 | 3.3m | 5.0m |
직각주차 | 6.0m | 6.0m |
60도 대향주차 | 4.5m | 5.5m |
45도 대향주차 | 3.5m | 5.0m |
교차주차 | 3.5m | 5.0m |
반응형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동주택 행위허가 행위신고 (0) | 2024.04.05 |
---|---|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건폐율, 용적률 (0) | 2024.04.02 |
용도변경필수, 표시변경 필수 (0) | 2024.03.30 |
건축물 용도 제1종근린생활시설 제2종근린생활시설 분류 (2) | 2024.03.30 |
법정 주차장 규격 (0) | 2024.03.18 |